단방향 VS 양방향
단방향
복호화 (X)
lock 만 가능
목적 ⇒ 전자성명(JWT)
SHA512 / HMAC
양방향
복호화 (o)
lock, open 둘 다 가능
목적 ⇒ 암호화
대칭키 / 비대칭키
- 대칭키
키 전달 X
암호화에 잘 안 씀, 인증서명
- 비대칭키
(존재한다.) 공개키 와 개인키
3세대
○ 예시
데이터 [1234] 를 A가 전송한다. B에게
(이때 b공개키로 lock하여 A가 전달한다.)
B가 데이터를 b개인키로 open하여 확인한다.
※ 진화된 방식
A가 데이터를 전달할 때
b공개키로 lock된 데이터를 추가로 a개인키로 lock한다. (이중lock)

수신자 = A 공개key 사용 >> A개인key 연다
데이터가 열리면 A가 보냈다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. [무결성 확보]
Share artic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