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2를 사용할 경우

프로젝트의 resources에 db폴더를 만들고
.sql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.

application.properties에서 3가지 코드를 통해 DB를 설정해주도록 합니다.
- diver-class-name은 사용하는 DB를 적어주고
- url은 db의 위치,
- username은 사용자 id를 적어주면 됩니다. (이 외에도 password 도 있습니다.)

만들어 둔 sql 파일에 컴파일 시 생성해야 할 더미데이터 sql문을 작성해 놓은 뒤
실행을 하면

위와 같이 h2 콘솔을 통해 더미데이터가 세팅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application.properties h2DB 데이터 세팅 시 필요한 설정

spring.jpa.defer-datasource-initialization=true
해당 코드는
프로그램 실행 시 테이블을 생성하고 난 다음 더미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도록
순서를 설정해주는 코드이다.
오류 발생시 콘솔 창 참고하는 법
위와 같이 설정을 안하게 될 경우
컴파일 시에 beanCreate에서 Exeption이 발생해 오류가 생기게 됩니다.
이와 같이 오류가 생길 경우
콘솔 창을 통해 ERROR 오류 바로 밑에 구문을 확인해 오류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합시다.


Share article